반응형

(사진) 다양한 블로그들이 존재  (티스토리 네이버 브런치 등등)

 

 처음에 블로그를 시작하려 할 때 여러 플랫폼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. 주로 네이버 블로그 , 브런치 , 티스토리 정도?? 요즘은 개인적으로 임의의 url을 개설하여서 사이트를 운영하는 게 쉽지 않다 보니 사람들이 대형회사의 블로그 시스템에 속하는 것 같다. 

 우선 개인 url 을 개설하면 홍보 및 광고를 직접 발품 뛰어야 하기 때문에 쉽사리 늘지 않는 방문자수에 의지를 잃는다던지 그리고 개인 url은 트래픽당 세금? 을 내야 하기 때문에 취미로 즐기기엔 배보다 배꼽이 큰 경우가 많은 것 같다. 

ui의 직관성이나 편의성 등을 고려했을때 개인 사이트보다는 주로 블로그를 운영하게 된다..

 

(사진) 구글의 시스템들이 보인다.   구글 검색창 유튜브 구글맵 등 

 

 본인은 개인적으로 네이버에서는 메일 정도만 이용하고 대부분의 검색 (날씨 뉴스 블로그 )를 구글에 의존하는데 그 이유는 자기가 필요한 정보를 직접 찾을 수 있고 정신없는 광고글에 헤매다가 허우적댈 필요가 없다는 점이 큰 것 같다. 

구글이 만든 시스템과 거대한 파이때문이라기 보다는 그냥 그렇게 써왔기 때문인 것 같다.

(인간이 다들 그렇듯 원래 하던걸 편하게 생각해서 그것만 이용하는 느낌) 

그렇기 때문에 거대 기업들이 플랫폼을 유치하려고 치킨게임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. (쿠팡 넷플릭스 구글 유튜브 등등)

 

 

(사진) 다양한 검색엔진 과 정보를 찾는 사이트들 

 

 나의 기준에서 주변 사람들의 검색엔진 이용 빈도를 보면  또래 친구 들은 주로 본인처럼 구글로 원하는 정보를 찾고 (나무 위키 같은) 놀러 다닐 때 맛집 정보는 네이버를 통해 찾는 것 같다. 반면 30대부터는 주로 네이버를 쓰고 가끔씩 다음을 쓰는 것으로 보이고 모든 나잇대가 유튜브를 통해 정보를 찾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았다. 

 

 

(사진) 세계의 검색 트래픽 발생순위   (사진) 구글 검색 키워드 통계자료 

 세계를 기준으로 트래픽 순위는 당연 구글이 차지하고 있다. 물론 한국만으로 놓고 봤을 때 네이버가 1위를 차지하고 있다. 네이버도 지도 서비스나 쇼핑몰이나 맛집 정보 등의 양질의 정보가 많지만 네이버 내에서만 찾도록 하는 느낌이라면 구글은 다른 사이트를 자유롭게 노출시키고 연동되도록 구축되어 있다. 

 물론 네이버도 타 사이트와 연동하여 검색을 유입하고 연동할 수 있다. 하지만 결론적으로 본인은 구글을 자주 사용하고 나중에 타 플랫폼 (유튜브 애드센스 등등) 티스토리가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. 

반응형